사행성 오락기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 수사관들이 30일 서울 서초동 한국컴퓨터게임산업중앙회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회계장부와 관련 서류, 컴퓨터 본체 등을 들고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로비 지원지’ 의심받는 안다미로 김용환씨
2004년 2005년 잇단 검·경 내사 불구 참가
2004년 2005년 잇단 검·경 내사 불구 참가
경품용 상품권 업체 지정 로비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 대상에 올라있는 김용환(48) 안다미로 대표가 올 1월 문화관광부에서 꾸린 ‘사행성게임 대책단’에 참가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문광부는 1월26일 차관보를 단장으로 재경부·대검찰청·경찰청·국세청 등 관련 부처 과장급 인사와 법조계·게임업계·영상물등급위원회(영등위)에서 파견된 인사 등 16명이 참가한 대책단을 만들었다. 김씨는 이 가운데 게임업계를 대표해 참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대책단에 참가한 김동현 세종대 교수(디지털콘텐츠학과)는 “김씨가 당시 회의에 참석해 ‘사행성 기준을 명확히 하자’는 말을 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이현숙 영등위 위원도 “김씨는 지난해 말께 영등위에 공개면담을 신청해 나와 몇몇 위원을 만나 업계 쪽 의견을 대변하는 말을 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김씨는 문광부와 영등위를 상대로 로비를 벌인 혐의로 2004∼2005년 잇따라 검찰과 경찰의 내사를 받은 바 있어 문광부의 대책단에 포함된 것 자체가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씨는 지난해 초 문화관광부의 한 국장에게 경품용 상품권 관련 문화관광부 고시를 바꾸기 위해 1억원대 로비를 벌인 혐의로 경찰청 특수수사과의 내사를 받았다. 당시 경찰은 김씨의 최근 5년간 거래내역에 대해 계좌추적을 벌였으나 혐의를 입증할만한 내용을 발견하지 못해 내사를 종결했다. 당시 수사팀 관계자는 “김씨와 김씨의 아버지 이름으로 된 통장만 100개가 넘어 계좌추적 작업이 매우 힘들었다”며 “그 때는 지금 제기되고 있는 의혹이 나오기 전이라 문화부 간부와 김씨 사이의 거래 내역만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이에 앞서 2004년에도 서울중앙지검에서 조명현(구속) 전 영등위 위원에게 금품을 건넸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를 받았으나 무혐의 처리됐다. 하지만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김씨가 상품권 업체 지정 과정에서 업체의 부탁을 받고 로비를 벌인 단서를 잡고 그의 집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등 김씨를 이번 사건의 핵심인물로 보고 있다. 검찰은 당시 경찰청의 내사기록을 넘겨 받아 내사 과정을 전면 재검토 하는 등 수사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전진식 김태규 기자 seek16@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