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보상 순서이견
보상범위도 큰 차이
보상범위도 큰 차이
지난 5월14일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부회장)의 ‘반도체 백혈병’ 공식 사과 이후 재개된 피해자 쪽과의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삼성전자와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이하 반올림)은 지난달 30일 5차 협상을 진행했지만 ‘사과’와 ‘보상’을 둘러싼 기존의 입장 차이와 함께 ‘재발방지 대책’에 대해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반올림은 “안전보건 관리에 소홀했던 점, 산재 신청을 방해했던 점 등에 대해 사과하고 산재 신청자 모두에게 보상해야 한다”고 거듭 요구했지만, 삼성전자는 “사과는 이미 여러차례 했다”며 “(협상에 참여하고 있는) 8명 피해자에 대한 보상 먼저 논의하자”고 답했다.
재발방지 대책과 관련해 반올림은 사업장 안전관리에 관한 종합 진단과 함께 화학물질의 취급 현황 등 정보 공개, 안전관리에 대한 상시적이고 주기적인 외부 감독을 요구했으나, 삼성 쪽은 “정보 공개와 외부 감시는 지금도 잘 이뤄지고 있다”며 “종합 진단 외의 부분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노조의 설립과 활동을 방해하지 않을 것을 문서화하자는 반올림의 요구에 삼성전자는 “노조 문제와 직업병 문제는 관련이 없다”며 “(노조가 있는) 하이닉스 반도체에서 백혈병 발병률이 더 높다는 <한겨레> 보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되묻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반올림의 이종란 노무사는 “<한겨레>의 보도로 ‘반도체 공장의 유해성’에 대해 사회적으로 다시금 각성하는 계기가 마련됐지만, 삼성은 해당 기사를 노조 무용론의 근거로 활용하고 있어 매우 인상적이었다”며 “삼성전자의 태도를 볼 때 문제 해결의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오승훈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