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사각사각 성실한 가위질…김수환 추기경도 단골

등록 2015-09-02 18:58수정 2015-09-03 14:09

이발사 김상수씨
이발사 김상수씨
[짬] 여의도 성모병원 54년 전속 이발사 김상수씨
그가 새벽에 병실에 들어서자 환자 보호자들이 다급하게 묻는다. “수술은 잘될까요? 환자 상태는 어떤가요?” 그는 미안한 표정으로 대답한다. “전 의사가 아닙니다. 환자 머리 깎으러 온 이발사입니다.” 순간 보호자들은 당황한다. 그는 침착하게 가위와 면도기 등 이발도구를 꺼내 환자의 머리칼을 깎기 시작한다. 환자 보호자들이 그를 의사로 착각하는 것은 당연하다. 흰 가운에 마치 병원장 같은 여유 있는 풍채. 그는 새벽 6시 반이면 병원에 출근한다. 그날 뇌수술이 있는 환자의 병실을 찾아간다. 정성껏 머리칼을 제거한다. 이발을 다 하고는 엄숙하게 기도한다. 환자를 위해…. 그가 여의도 성모병원 전속 이발사로 일한 지 벌써 54년. 그동안 숱한 환자가 그의 손길을 거쳐 수술대 위로 올라갔다. 머리칼뿐 아니다. 몸에 있는 체모의 제거도 그의 몫이다. “몸에 있는 털은 소독이 완벽하게 안 돼요. 그래서 수술 부위의 털은 모두 잘라줘야 해요.” 그의 능숙하고 부드러운 가위질이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다. 이발 가위를 잡은 지 거의 60년. 이발사 김상수(78)씨는 역대 한국 천주교(가톨릭) 수장들을 대부분 단골로 모셨다.

장면 총리가 아들 이름 지어줘
한살 많은 배우 이낙훈 친구처럼
뇌수술 앞둔 환자들한테는 ‘대부’
이발과 함께 치유기원 기도해줘

1961년 11월 명동 성모병원이 개원하며 24살의 젊은 그는 노기남(1902~1984) 대주교의 추천으로 병원에서 일하게 됐다. 모태신앙으로 세례명이 ‘바오로’인 그는 한국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신부의 묘소가 있는 안성 미리내 성지 부근에서 태어났다. 농사짓는 부모의 7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으나, 가정 형편이 어려워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서울로 올라왔다. 신당동의 한 이발소에 취직해 빗질과 머리 감기는 것부터 배웠다. 면도와 가위질까지 배워 19살에 이발사 면허증을 땄다. 그 뒤 명동에 있던 성모병원의 구내 이발관 이발사로 취직한 그는 깊은 신앙심과 성실한 가위질로 많은 단골을 확보했다. 노 대주교는 물론, 윤공희(92) 대주교와 김수환(1922~2009) 추기경은 그에게 자신의 이발을 부탁했다. “김 추기경은 항상 자애롭고 포근한 미소로 이웃집 아저씨같이 느껴졌어요. 서민적인 풍모를 듬뿍 풍기시곤 했어요.”

정치인들도 그의 단골이 많았다. 특히 4·19 혁명 직후 국무총리를 지낸 장면(1899~1966)은 이발하면서 친해진 그에게 ‘큰 선물’을 주고 갔다. 김씨의 둘째아들 이름을 지어준 것이다. 장면 국무총리는 아들 이름을 지어달라는 김씨의 부탁을 받고 며칠 뒤 “이 험악한 세상, 착하고 선하게 살아야 한다”며, ‘용선’(容善)이라는 이름을 권한 것이다.

최무룡(1928~1999)과 이낙훈(1936~1998) 등 당대 최고의 영화배우들도 그의 단골이었다. 당시 성모병원이 명동에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살 많은 이낙훈과는 친구처럼 지냈어요. 먼저 하늘나라에 가 있어요. 아마도 저를 많이 기다릴 것입니다.”

병원에 근무하는 그는 수술을 앞둔 환자들에게 ‘대부’로 자리잡기도 했다. 1960년대 성모병원에는 탄광에서 일하던 진폐증 환자들이 많았다. 그들은 세례를 받으며, 인상 좋고 신앙심이 깊은 김씨와 대부(代父)로 인연을 맺었다. “한때 100여명의 환자들이 저의 ‘대자’(代子)였어요. 지금 살아 있는 이들은 아무도 없어요. 물론 제 가슴속에는 아직 살아남아 있죠.”

뇌수술 환자 가운데 그래도 자신을 이발해주는 그에게 인사를 나누는 환자는 다행이다. 의식이 없는 채 그에게 머리를 맡기는 환자가 많고, 교통사고로 응급처치를 해야 하는 환자는 이발을 하던 도중에 숨을 거두기도 했다.

김씨 대신 사고로 입원한 긴급환자의 뇌수술을 위해 이발을 하러 응급실에 간 한 동료 이발사는 환자의 처참한 모습을 보고 기절해 김씨가 급히 투입되기도 했다.

“이발을 해주고 기도해줘도 되냐고 물어봅니다. 대부분 고개를 끄덕이지만, 간혹 기도를 거부하는 이도 있어요. 그러면 저 혼자 속으로 기도하고 병실을 나옵니다.”

최근엔 뇌수술을 두번이나 했으나, 말도 못 하고, 대소변을 못 가리고, 걷지도 못하는 아내를 위해서 김씨에게 찾아와 기도를 부탁한 남편 보호자도 있었다. 얼마 뒤 지하 이발소에 찾아온 그 남편은 “선생님의 기도 덕분인지, 아내가 말도 하고, 대소변도 가립니다”라며 감사의 말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아마도 서울에서 가장 나이 먹은 이발사일지도 모릅니다. 항상 즐거운 마음으로 가위질을 합니다.”

이길우 선임기자 niha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영상] ‘체포 명단 폭로’ 홍장원 인사에 윤석열 고개 ‘홱’…증언엔 ‘피식’ 1.

[영상] ‘체포 명단 폭로’ 홍장원 인사에 윤석열 고개 ‘홱’…증언엔 ‘피식’

“선관위 군 투입 지시” 시인한 윤석열…“아무 일 안 일어나” 궤변 2.

“선관위 군 투입 지시” 시인한 윤석열…“아무 일 안 일어나” 궤변

이재명, ‘허위사실 공표죄’ 선거법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3.

이재명, ‘허위사실 공표죄’ 선거법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구준엽 통곡에 가슴 찢어져”…눈감은 아내에게 마지막 인사 4.

“구준엽 통곡에 가슴 찢어져”…눈감은 아내에게 마지막 인사

[영상] 윤석열 ‘의원체포 지시 전화’ 증언 마친 홍장원 “토씨까지 기억” 5.

[영상] 윤석열 ‘의원체포 지시 전화’ 증언 마친 홍장원 “토씨까지 기억”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