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 총학생회를 비롯한 학생들이 5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기숙사 신축을 촉구하고 있다. 한양대 총학생회는 기숙사 신축 여부가 결정되는 6일 21차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까지 서울시청 앞에서 농성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기숙사 증축을 놓고 대학과 대학생, 주변 주민들 사이 갈등이 곳곳에서 되풀이되고 있다. 대학과 학생들은 학교의 기숙사 수용률이 턱없이 낮다고 주장하는 반면, 지역 주민들과 민간 임대업자들은 안전 문제와 부동산 임대료 하락 등을 이유로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고 있다.
현재 기숙사 신축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는 학교로는 한양대, 고려대, 총신대 등이 있다. 한양대의 경우 지난해 11월에 열린 공청회가 ‘한양대기숙사 건립반대 대책위원회’ 주민들의 항의 퇴장으로 파행을 겪은 뒤 아직까지 대학과 주민 간의 접점을 찾지 못한 상태다. 서울시는 6일 한양대 기숙사 신축 허가안을 검토하는 제22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연다.
총신대는 지난해 동작구청으로부터 116실 규모의 기숙사 건물 신축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인근 주민들은 공사장 건축 부지의 안전 문제와 부설주차장 설치에 따른 분진 등 환경 악화를 근거로 지난해 11월 서울이웃분쟁조정센터에 갈등 조정 신청을 한 상태다. 현재 서울시 갈등조정담당관이 대학과 주민 간 접점을 찾고 있다.
고려대의 기숙사 신축 계획은 4년째 제자리걸음이다. 고려대는 2013년 1100명 규모 기숙사를 서울 성북구 개운산 내 학교 땅에 신축하겠다고 밝혔지만, 주민들은 ‘90년대부터 주민들이 이용하고 있던 공원’이라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고려대 총학생회는 기숙사 신축을 요구하기 위해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학생들 주소지를 성북구로 옮기는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했다. 지역구 주민 눈치를 보는 정치권을 학생 표의 힘으로 움직여 보자는 뜻이었다. 박세훈 당시 고려대 총학생회장은 “총선 전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들과 토론회를 했을 때만 해도 다들 기숙사 신축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며 “그러나 선거가 지난 뒤 딱히 달라진 점은 없었다”고 말했다.
지역 주민들이 반대하는 것은 대학교 내 기숙사뿐만이 아니다. 2015년 한국사학진흥재단은 지역 출신 대학생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기숙사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성북구 내 국유지에 행복기숙사 신축안을 발표했다. 행복기숙사는 지난 2월 구청으로부터 건축허가까지 받았지만, 신축 부지 인근 아파트 주민들이 공사로 인한 안전문제를 이유로 반대하면서 착공이 연기되고 있다. 한국장학재단 역시 지난해 10월 성동구 응봉동의 국유지에 대학생 1000명을 수용하는 연합기숙사를 신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인근 주민들이 반대하면서 흐지부지된 상황이다.
조현준 민달팽이유니온 사무처장은 “부동산을 투자 목적으로만 보는 비정상적인 임대 시장에서 자기 집을 가진 평범한 사람들까지 집값 때문에 기숙사를 반대하는 입장에 서게 된다”며 “결과적으로 기숙사를 둘러싼 갈등이 세대 간의 갈등으로까지 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