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언론사가 본받아야 할 모델’ 꼽힌 프랑스 ‘메디아파르트’는

등록 2018-05-14 20:14수정 2018-05-18 10:07

르몽드 출신 기자 등 4명 설립 주도
10년 사이 유료독자 16만명 급성장
탐사보도 집중…광고 없이 구독료로 운영
메디아파르트는 프랑스어로 ‘참여적 매체’란 뜻이다. “우리의 구독자만이 우리를 살 수 있다”는 글귀를 사무실에 붙여놓은 것처럼 이 매체는 독자 참여를 매우 중시한다.
메디아파르트는 프랑스어로 ‘참여적 매체’란 뜻이다. “우리의 구독자만이 우리를 살 수 있다”는 글귀를 사무실에 붙여놓은 것처럼 이 매체는 독자 참여를 매우 중시한다.
<메디아파르트>는 쥘리아 카제 교수가 기존 미디어기업 모델의 새 대안으로 지목한 프랑스의 온라인 매체다. 카제 교수가 “다른 언론사가 본받아야 할 모델”이란 평가를 하는 데는 충분한 까닭이 있다. 지난 2일 파리 12구에 있는 이 언론사의 토마 캉탈루브 국제전문기자를 만나 매체의 특징을 들어보았다.

가장 주목할 요소는 광고 없이 독자의 구독료만으로 운영된다는 점이다. 또 소수의 주주가 기사에 영향을 끼칠 수 없도록 세부규정이 마련돼 있다. 편집권 독립이 완전히 보장된 비영리 독립언론인 것이다. 이런 구조는 2008년 3월 <르 몽드> 전 편집국장인 에드위 플레넬 등 기자 네명의 주도로 창간할 때부터 만들어졌다. 당시 대다수가 얼토당토않은 짓으로 여겼지만, 어느새 유료독자만 16만명에 이를 정도로 급성장했다.

<메디아파르트>의 토마 캉탈루브 국제보도 전문기자가 편집국 자신의 자리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메디아파르트>의 토마 캉탈루브 국제보도 전문기자가 편집국 자신의 자리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고품질 탐사보도 매체란 점도 중요한 요소다. 니콜라 사르코지 전 대통령, 제롬 카위자크 전 예산장관 등 프랑스 정계 거물들의 비리를 잇달아 폭로해 언론계는 물론 프랑스를 뒤흔들었다. 이밖에도 대부분 기자가 동등한 지위를 갖고 편집회의에 참여해 의견을 나눈다거나, 회의 주재를 일주일마다 바뀌는 편집국장이 하는 등 편집 시스템도 파격적이다.

메디아파르트는 ‘참여적 매체’라는 뜻이다. 그런 만큼 출범 때부터 독자의 참여를 소중히 했다. 매체 사이트엔 직업 기자들의 기사 공간 외에 ‘르 클뢰브’란 독자들 공간이 따로 있다. <르 파리지앵>의 미국 특파원을 하다 “깊이 있는 저널리즘을 하기 위해” 이 매체에 합류했다는 캉탈루브 기자는 “힘센 자를 곤란하게 만들고 약한 자들에게 힘을 주는 게 좋은 저널리즘 정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파리/글·사진 이창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장 go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단독] 헌재 직권증인 “이진우, 공포탄 준비 지시…의원 끌어내라고” 1.

[단독] 헌재 직권증인 “이진우, 공포탄 준비 지시…의원 끌어내라고”

김용현 변호인, ‘증거인멸’ 말 맞췄나…이진우·여인형 ‘옥중 접견’ 2.

김용현 변호인, ‘증거인멸’ 말 맞췄나…이진우·여인형 ‘옥중 접견’

법원 폭동으로 경찰 뇌진탕, 자동차에 발 깔려 골절…56명 부상 3.

법원 폭동으로 경찰 뇌진탕, 자동차에 발 깔려 골절…56명 부상

방첩사 정성우 “노상원 전화 ‘모두 위법’…대화 안 돼 언성 높였다” 4.

방첩사 정성우 “노상원 전화 ‘모두 위법’…대화 안 돼 언성 높였다”

[단독] 명태균 측근 “명, 아크로비스타에 여론조사 결과 직접 가져가” 5.

[단독] 명태균 측근 “명, 아크로비스타에 여론조사 결과 직접 가져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