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6월, 전두환 정권에 맞서 일련의 대규모 민주화운동이 일어났다. 시민들은 군부독재 타도와 호헌 철폐 등을 요구했고, 전 국민적인 저항에 정권은 결국 두 손을 들었다. 이른바 ‘6월 민주항쟁’이다.
노태우가 그해 6월29일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 조치 실현 등 시국 수습을 위한 특별 선언(6·29 선언)을 냈다. 그는 당시 헌법을 기반으로 다음 대통령에 내정됐던 인물이다. 7월1일 현직 대통령이던 전두환이 6·29 선언을 수용한다.
그해 6월은 한국 사회에서 민주화 물결이 본격 대두된 때로 기억되고 있다. 이때 개정된 대한민국 제9차 개정 헌법이 ‘1987년 체제’로 불리며 지금도 우리 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로부터 34년. 우리 사회의 민주화는 완성됐다고 말할 수 있을까? 6월 항쟁의 영웅담은 이제 민주화 기념관의 전시물에서나 찾을 수 있다. 당시 독재자와 그의 곁에 있던 이들이 지금도 여전히 권력의 단맛을 누리고 있다. 낮은 곳에 있는 이들이 어딘가에서 합리적인 이유 없이 차별받는 일도 여전하다.
우리는 1960년 4·19 의거를 시작으로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1987년 6월 항쟁에 이어 최근 촛불혁명까지 민주화운동의 긴 역사를 갖고 있다. 그러나 아직 가야 할 여정은 멀다. 민주화는 절대 한판의 승부가 아니다. 사진은 지난 2일 경기도 이천 민주화운동기념공원에서 방문객들이 ‘민주주의’를 생각하며 적어놓은 단어들을 살피고 있는 시민들의 모습을 찍었다.
이천/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