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도입을 적극 추진하는 가운데, 기업 가운데 상당수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도입에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433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충에 대한 생각’을 물었더니 46.9%(203곳)가 부...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정년을 60살로 하는 법이 의무화되었지만, 현재 정년제를 운영하는 기업 가운데 직원들이 정해진 정년을 채우고 나간 경우는 극히 드문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283곳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정년제를 운영하는 기업 174곳 가운데 직원...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정년을 60살로 하는 법이 의무화되었지만, 현재 정년제를 운영하는 기업 가운데 직원들이 정해진 정년을 채우고 나간 경우는 극히 드문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283곳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정년제를 운영하는 기업 174곳 가운데 직...
‘오후 9시까지, 1차만, 1종류의 술로 마시자’는 뜻의 ‘911 송년회’, 만취 송년회 대신 봉사활동·문화공연이나 가족과 함께… 각종 송년 모임이 많은 연말을 맞아 상당수 기업들이 술로 흥청망청하는 대신 건전하고 의미있는 송년회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산하 윤...
한달도 안남은 2013년, 사무실을 둘러보면 직장인 10명 가운데 1~2명은 올해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을 주로 하는 직장인은 신입 미혼 남자 직원이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490곳을 대상으로 ‘올해 평균 이직률’을 조사해 9일 내놓은 결과를 보면, 직원의 15.8%가 회사를 떠났다고 조사됐다. ...
직장인 2명 중 1명 “직장 부적응” 직장인의 절반 이상이 ‘직장 부적응’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 8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이들 가운데 515명(58.4%)이 자신이 현 직장에 부적응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직장 부적응을 겪는 원인으로는 ‘직장 내 대인관계 ...
직장 여성이 결혼 뒤 출산·육아를 하게 되면 고용률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8일 통계개발원이 2010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분석한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및 변화 분석’ 보고서를 보면, 직장 여성들의 경력 단절이 심각한 문제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기간 안에 출생한 세대의 시계열 변화...
신한은행은 2016년까지 경력 단절 여성 500명을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채용한다고 17일 밝혔다. 신한은행은 “육아 및 가사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이 사회에 다시 진출해 꿈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입출금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정규직 시간제 리테일서비스(Retail Service·RS)직에 채용한다”고...
대학 졸업생들이 대기업에만 몰리는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되고 있다. 지원자 대비 취업자 수도 갈수록 줄어들어 취업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경영자총협회는 325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3년 대졸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를 한 결과, 취업경쟁률이 평균 28.6대 1로 나타났다고 10일 발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