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통령 후보 초청 관훈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 양쪽으로부터 단일화 제안을 받고 있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8일 초청 토론회에서 “끝까지 갈 생각으로 시작했다”면서 대선 레이스를 완주하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단, 공식적인 단일화 제안이 있으면 어떻게 할 거냐는 질문에는 “직접적으로 제가 어떤 (단일화) 제안을 받은 적이 없다”며 확답하지 않았다.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안 후보 초청 관훈토론회에는 처음부터 단일화 관련 질문이 쏟아졌다. 안 후보는 그러나 “굉장히 귀중한 시간을 단일화에 거의 한 15~30분 이렇게 쓰는 일은 없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또 “(국민의힘) 내부적으로도 (단일화 의견이) 크게 둘로 나뉘어져 있다고 보고, 그 둘 간에도 서로 공론화, 합의가 되지 않는 걸로 안다. 내부 합의가 되지 않은 그런 상황에서 어떤 제안이 나올 수 있을까”라고 되묻기도 했다.
안 후보는 이어 “더 좋은 대한민국을 만드는 게 목적이고 정권교체는 수단이자 과정”이라고 했고 ‘좋은 정권교체’를 강조하며 “국민의힘 지지자의 경우에는 우리 후보가 너무나 싫은데 상대방 후보가 되는 것만은 막아야 되지 않겠느냐고 하면서 싫은 후보를 찍어야 되는 거의 인질상태에 있는 것”이라고 했다. ‘좋은 정권교체’의 적임자는 윤석열 후보가 아닌 본인이라는 얘기다.
안 후보는 자신을 향한 ‘철수정치’ 프레임에 억울함도 드러냈다. 그는 “시민들을 만나면 ‘이번에는 도중에 그만 두지 마라’ ‘이번에도 단일화할 거냐’는 말을 많이 듣는다”며 “10년 동안 9번의 선거에서 선거를 완주를 하지 않은 적이 한 번도 없다. 잘못된 기득권 정당의 정치세력의 이미지 조작”이라고 했다. 2012년 대선 때 단일화 협상 과정에서 후보를 사퇴한 건 “그때는 정치나 또는 사람에 대해 처음이다보니 ‘너무 선의로 대했구나’ 하고 저 스스로 다시는 그런 실수 반복하지 않아야겠다고 교훈을 얻었다. 그것을 제외하고는 한 번도 도중에 그만 둔 적 없다”고 했다. 이번에 후보 단일화에 응하든, 응하지 않든 자신이 감내해야 할 비판에 사전에 방어막을 친 것으로 풀이된다.
안 후보는 또 양당에서 단일화를 공식적으로 제안할 경우 응할지를 묻는 질문에는 “가정에 대해서 무슨 어떤 답을 미리 드릴 필요는 없다”면서도 “원내 정당 후보 4명 간에 정말 중요한 화두에 대해선 원탁테이블도 좋고 텔레비전 토론도 좋고 (논의하는) 그런 자리를 마련하고 싶다. 그런 과정을 통해 제가 생각했던 걱정되는 문제들에 대해 이야기가 나올 수 있고,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될 수 있을 것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토론회 방식의 정책 경쟁이 필요하다는 얘기로, 이를 통해 경쟁력을 부각시켜 야권 단일화의 지렛대로 삼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계속되는 단일화 질문에 ‘먼저 나설 생각이 없다’는 뜻을 일관되게 유지하자 토론회에 참여한 패널은 “정말 집요하십니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안 후보는 의사로서 문재인 정부의 방역 체제 전환을 평가해달라는 요청에 현 정부가 정치방역을 하고 있다며 △3차 접종률을 높이고 △병상 및 의료진을 확보해야 하며 △국민참여형 방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세제에 대해선 “재산세는 높이고 거래세는 낮추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지만 종합부동산세는 개편하겠다고 했다. 안 후보는 “종부세의 시작은 부유세였다. 그러나 집값이 오르고 공시지가가 오르며 세율과 공시지가가 동시에 오르니 부유세가 아니라 중산층까지 다 내는 세금이 된 게 큰 문제”라며 “다시 예전 원래 취지인 부유세, 대상자가 국한된 세금으로 만들든지 아니면 전체적으로 통합해서 자산세의 일부로 관리를 하든지 그런 방법들밖에 없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지난 3일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국민연금 개혁을 주요 의제로 내세웠던 안 후보는 “소득대체율을 지금보다 더 낮출 순 없다. 이상적 시나리오는 2028년이 되면 소득대체율이 40%가 된다. 그 선을 유지하는 것이 최소한”이라고 말했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