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BAR_윤형중의 윤중로산책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후보였던 지난 4월 11일 오전 경남 창원시 창원컨벤션센터에서 '내 삶을 바꾸는 정권교체' 정책시리즈 4탄으로 '가계통신비 부담 절감 8대 정책'을 발표한 뒤 지지자들과 함께 휴대전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약후퇴에 ‘궤변’으로 대응한 박근혜 정부
박근혜 정부에서 공약파기 논란이 일었던 첫 번째 사안은 기초연금이었다. 만65살 이상의 모든 노인에게 월 20만원씩 주겠다던 기초연금 ‘공약’이 인수위에서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하겠다는 ‘국정과제’로 바뀌었고, 정부 출범 이후엔 아예 소득 상위 30%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70%에겐 국민연금 수령액과 연계해 지급하겠단 ‘정책’으로 후퇴했다. 그런데 진짜 문제는 공약이 후퇴되는 일련의 과정보단, 정부의 정직하지 못한 태도였다. 박근혜 정부는 국민연금에 오래 가입할수록 기초연금액을 깎는 방식을 택했음에도 “국민연금에 오래 가입할수록 손해가 아니다”란 입장으로 일관했다. 이런 입장은 사실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다. 당시 정부는 국민연금에 오래 가입할수록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초연금이 삭감되는 수준보다 더 크게 늘어나) 총연금액이 커져 손해가 아니란 논리를 내세웠다. 문제는 괄호에 넣은 내용을 의도적으로 뺀 설명을 반복하며 국민들의 오해를 유도했다는 점이다. 궤변으로 비판을 막으니 설명은 빈약해졌고 소통은 가로막혔다. 이런 일이 박근혜 정부에선 여러차례 반복됐다.
노동·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2013년10월1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기초연금 공약 후퇴 논란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들에게 한 약속을 반드시 이행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통신요금 기본료 폐지를 둘러싼 오해
촛불 민심이 탄생시킨 문재인 정부는 전임 정권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줄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지금까진 여러 면에서 그 기대에 부합하는 국정운영을 하고 있으나, 우려스러운 대목도 있다. 통신요금 기본료 폐지와 누리과정 국고 지원이라는 두 사안을 다루는 정부의 태도가 대표적이다. 문재인 정부의 인수위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이 두 가지 사안에 대해 오해를 양산하거나 방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선 통신요금 기본료 폐지는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의 이개호 위원장과 최민희 자문위원이 최근들어 여러차례 “현재 기본료는 투지(2G)와 쓰리지(3G) 가입자와 엘티이(LTE) 일부 가입자에게만 있다. 그걸 폐지하는 것이 공약”이라고 발언했다. 이는 명백히 공약을 오독한 것이다.
지난 4월11일 통신요금 기본료 폐지 공약이 발표될 당시에 문재인 대통령의 공식 블로그에 올라온 설명자료.
누리과정 국고지원은 4조가 아니라 2조원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예산의 국고 지원도 비슷한 경우다. 국정기획위는 지난달 25일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전액 국고로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이날 꽤 여러 언론에서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포괄한 전체 누리과정 예산 4조원을 중앙정부가 부담한다는 잘못된 보도가 나왔다. 물론 이런 잘못된 보도의 책임은 정부가 아닌 언론에게 있다. 하지만 정부가 누리과정이 어린이집과 유치원으로 나뉘어져 있고, 중앙정부는 유치원 누리과정 예산 2조원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친절하게 설명하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열린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시·도교육감 간담회’에서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오른쪽 셋째) 등 참석자들이 교육 관련 현안을 논의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 정치BAR 텔레그램 바로가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