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초6 아이 돌보러 “하루 6시간만 일하겠습니다” 가능할까?

등록 2023-03-28 16:51수정 2023-03-29 09:2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추진안
초2 자녀에서 초6까지로 대상 확대
통상임금 100% 지급 하루 2시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2시간 덜 일하겠습니다.” 회사 눈치 보지 않고 근로시간 단축 권리를 행사할 부모들이 늘어날 수 있을까.

28일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과제 및 추진방안’(추진방안)을 통한 가장 큰 변화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근로시간 단축제) 적용 대상을 크게 확대한 것이다. 그러나 ‘장시간·저임금’으로 대표되는 노동·산업 구조와 조직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출산율을 끌어올리는 수준의 변화를 이끌어내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추진방안은 자녀가 초등학교 2학년(만8살)일때까지만 쓸 수 있었던 근로시간 단축제 사용 시기를 초등학교 6학년 자녀에게로 확대했다. 근로시간 단축제는 아이를 돌보기 위해 한 주 15~35시간 수준으로 노동 시간을 줄이는 대신, 고용보험으로 줄어든 노동 시간에 대한 급여를 일부 지원하는 제도다. 또 부모 1인당 최대 36개월(육아휴직 미사용 기간 포함, 기존 24개월)로 사용 기간을 늘렸다. 부모 모두 근로시간 단축제를 활용할 경우 최대 6년(육아휴직 미사용 시)까지 가능하게 된 셈이다. 통상임금의 100%를 지원하는 단축 시간에 대한 급여도 하루 1시간에서 2시간으로 늘렸다. 하루 8시간 일하던 노동자가 6시간으로 단축 노동할 경우 2시간에 대한 급여 지원(그 이상의 단축 시간은 통상임금의 80%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밖에 부모 맞돌봄 활성화를 위해 남성의 육아휴직·출산휴가 등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과 현재는 출산휴가만 적용되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예술인(고용보험 가입자)에게도 육아휴직급여를 지급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이같은 제도 확대로 일·육아 병행 제도의 사용이 늘 수는 있지만 그 확산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근로시간 단축제는 육아휴직 기간(1년) 범위 내에서 쓸 수 있었던 데서 근로시간 단축제만 별도로 1년을 쓸 수 있도록 확대된 바 있다. 이를 통해 2019년 5천명 수준이었던 사용 인원이 지난해 기준 1만9천여명으로 3배 가량 늘었으나 여전히 2만명을 밑도는 수준이다. 2021년 일·가정양립 실태조사를 보면 출산휴가(44.1%), 육아 휴직(49.3%), 근로시간 단축제(44.2%)를 ‘자유롭게 쓸 수 없다’는 응답이 절반에 가깝다.

정부가 이번 추진방안에서 ‘근로감독 확대’, ‘전담 신고센터’ 신설 등 단속을 강조한 점도 특히 중소기업·소규모 사업장에서 만연한 이같은 제도와 현실의 ‘간극’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추진방안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중소기업이나 비정규직 근로자 등 노동 약자 중 다수는 현재 법으로 보장된 출산, 육아, 돌봄 휴가조차도 제대로 쓰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다만 코로나19때 만든 ‘휴업·휴직·휴가 익명신고센터’에 접수된 사례의 경우 사용자 형사 처벌로 이어진 일이 거의 없는 등 ‘단속 방식의 행정’이 갖는 실효성 논란은 넘어야 할 산이다. 근로시간 단축제 역시 ‘14일 이상 노력했음에도 대체 인력 채용이 안됐거나 사업 운영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 사용자가 합법적으로 이를 거절할 수 있도록 돼 있어 노동자 입장에서는 ‘그림의 떡’이 될 수밖에 없는 여지도 많다. 장종수 노무사(돌꽃노동법률사무소)는 “이번 대책이 그동안 반복됐지만 실효성은 없었던 근로감독 강화 방침과 얼마나 차이가 있을지 알 수 없다”며 “무엇보다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전사회적인 노력과 전환이 없으면 일·육아 병행이 원활할 수 없는데, 주 최대 69시간제 같은 사용자의 의지와 일감에 노동 시간을 맞추는 근로시간 개편방안이 나온 지금 같은 분위기에서 효과적인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72살 친구 셋, 요양원 대신 한집에 모여 살기…가장 좋은 점은 1.

72살 친구 셋, 요양원 대신 한집에 모여 살기…가장 좋은 점은

강남역서 실신한 배우 “끝까지 돌봐주신 시민 두 분께…” 2.

강남역서 실신한 배우 “끝까지 돌봐주신 시민 두 분께…”

빨치산에 식량 뺏기고도 “내통했다” 총살…75년 만에 손해배상 3.

빨치산에 식량 뺏기고도 “내통했다” 총살…75년 만에 손해배상

늙는 속도 늦추기, 나이 상관없다…저속노화 식단에 빠진 2030 4.

늙는 속도 늦추기, 나이 상관없다…저속노화 식단에 빠진 2030

‘점 100원’ 고스톱 쳤다가 벌금 50만원…유·무죄 어떻게 갈리나 5.

‘점 100원’ 고스톱 쳤다가 벌금 50만원…유·무죄 어떻게 갈리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