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남 원로신학자.
미수 맞은 조종남 원로신학자
“교황은 개신교의 적이 아니며
가톨릭도 배타적 대상 아니다”
“교황은 개신교의 적이 아니며
가톨릭도 배타적 대상 아니다”
“교황이 한국에 오시면 좋은 일이지 종교가 다르다고 반대하고 심통을 부릴 필요가 뭐 있습니까?”
88살 미수를 맞아 8일 제자들로부터 미수 기념 문집을 봉정받는 조종남(사진) 서울신학대 명예총장은 최근 일부 개신교를 비롯한 다른 종교계에서 내심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을 반기지 않는 분위기를 질타했다.
한국인으로선 처음으로 미국 에머리대학에서 ‘웨슬리 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개신교의 원로 신학자인 그는 빌리 그레이엄 목사와 함께 ‘로잔 운동’이라 불리는 사회복음주의 운동을 주도한 대표적 인물이다. 18세기 영국 산업사회의 부패를 척결하고자 종교개혁 운동을 일으킨 존 웨슬리(1703~91)의 정신은 오늘날 감리교·성결교·구세군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교황의 방한 목적은 정의와 평화에 초점이 있습니다. 한마디로 사회적 약자를 위함이며, 분단된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를 위한 방문으로 볼 수 있는 겁니다. 개신교는 교황 방한을 자성과 갱신의 기회, 교회 연합의 장으로 삼아야 합니다.” 그는 “교황은 적이 아니며, 가톨릭교회 역시 개신교의 배타적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천주교와 개신교는 이미 1555년 독일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협약과 1648년 베스트팔렌 종교평화협약을 통해 상호 관용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조 박사는 이어 중세 가톨릭교회의 부패에 대한 개혁으로 출발한 개신교가 오늘날 개혁의 대상이 됐다고 꼬집었다.
“2017년이면 종교개혁 500돌이 되지만 한국 교회의 현실은 중세 가톨릭교회와 다를 바 없을 정도로 퇴보했습니다. 교회는 외형과 규모를 비교하면서 경쟁에 혈안이 돼 있습니다.” 그는 믿음과 생활의 이원화 현상을 한국 교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믿음만 강조한 나머지 개인의 윤리생활과 사회정의를 등한시하는 풍조가 교회의 부패를 가중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웨슬리는 ‘사랑으로 일하는 믿음이라야 한다’고 했습니다. 믿음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구원받은 자의 생활의 변화, 교회와 사회를 거룩하게 하는 사역을 강조한 것이죠.” 조 박사는 “예수 그리스도와 웨슬리가 그랬던 것처럼 선교와 사회참여는 같이 가야 한다. 한국 교회의 문제도 결국은 사회참여가 미흡했다 것”이라고 말했다. ‘교회가 세상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며 교회 쇄신을 통한 사회 개혁을 역설하고 있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얘기와 같은 맥락이다.
42살 때인 1968년 서울신학대 교수로 부임한 지 한 학기 만에 총장(당시 학장)으로 선임된 그는 “그때 에머리대 은사님이 학장을 맡지 말라고 조언했는데 그냥 학자로 남았어도 좋을걸 그랬다”며 웃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