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승 글로컬 대학위원회 부위원장이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글로컬대학30 사업 본지정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원대·강릉원주대, 경상국립대, 순천대 등 지방대 10곳이 5년간 정부로부터 총 1천억원을 지원받는 ‘글로컬대학’에 최종 선정됐다. 지역 대학을 살리기 위한 정부의 역점 사업인 글로컬 대학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셈인데, 한쪽에선 대학 간 경쟁과 성급한 대학 구조조정을 부추긴다는 우려도 나온다.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1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글로컬대학30 사업 본지정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글로컬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은 △강원대학교‧강릉원주대 △경상국립대학교 △부산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경북도립대학교 △울산대학교 △전북대학교 △충북대학교‧한국교통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림대학교 등 총 10곳이다. 대학 유형별로는 국·공립대가 7곳, 사립대가 3곳이며 대학 간 연합은 4곳(대학 8곳)이다.
교육부는 “실행계획이 얼마나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지, 지역 발전전략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지, 지자체의 지원 의지가 충분한지를 살펴봤다”고 설명했다. 글로컬대학30 사업은 지방대 30곳을 뽑아 대학 1곳당 5년간 1천억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6년까지 30개 대학을 글로컬대학으로 정하며 올해는 10곳을 우선 선정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일부 대학에 파격적인 규모의 재정을 투자하는 글로컬 대학 사업의 특성 탓에 각 지방대는 선정에 사활을 걸었다. 글로컬대학이 되면 대학의 위상과 역량을 높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경쟁에서 도태되고 신입생 모집에서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우려 탓이다.
지난 6월 공개된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접수 현황에 따르면, 신청서를 접수한 대학 또는 대학 간 연합은 94곳(개별 대학 기준108곳)으로 신청 가능한 대학 166곳의 65.1%다. 본지정까지 10대 1의 경쟁률을 보인 셈이다.
선정된 대학들이 제출한 혁신안을 보면, 지역 산업과 연계를 위해 대학을 통합하고 학과 간 칸막이를 허무는 등 대학 구조를 개편하겠다는 구상이 주로 담겼다. 강원대·강릉원주대 연합은 ‘1도 1 국립대’ 모델 아래 특성화된 4개의 캠퍼스를 두고 강원권을 포괄하는 지역 거점 대학이 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춘천 캠퍼스는 교육·연구에, 원주 캠퍼스는 산학협력, 강릉 캠퍼스는 지학연협력, 삼척 캠퍼스는 지역산업에 초점을 맞추는 식이다.
경상국립대는 경남 지역이 우주항공과 방위 산업의 국내 최대 집적지라는 특성을 살려, 대학이 우주항공·방산의 허브가 되겠다고 밝혔다. 캠퍼스 간 장벽을 없애 우주항공대학을 신설하고, 대학원과 연구소를 통합한 경남형 우주항공방산과학기술원(GADIST)을 만들어 연구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순천대는 중소기업·농업 중심 산업 구조를 지닌 전남의 지역적 특성을 살려서 스마트팜, 애니메이션, 우주항공·첨단소재 등 3대 지역 특화 분야에 맞춰 학사 구조를 개편한다. 이에 따라 기존 생명산업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인문예술대학·공과대학·미래융합대학 등 5개 단과대학은 폐지되고 관련된 학과를 중심으로 학과가 개편된다.
안동대·경북도립대 연합은 학생의 전공 선택권을 강화하기 위해 2024년까지 100% 자유 전과제를 실시하고, 2025년에는 아예 학과 단위 모집을 폐지한다.
교육부는 글로컬대학30 사업을 ‘지방대 살리기’를 위한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지만, 이 정책이 지방대 위기를 외려 가속할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올해 본지정 결과를 보면 주로 국립대 위주로 선정됐는데, ‘살릴 대학만 살린다’는 방식으로 지역 거점 국립대 등 일부 대학에 재정을 집중적으로 투자해 사실상 대학 구조조정을 유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남중웅 전국국공립대학교수노동조합 위원장(한국교통대 교수)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큰 대학에서 작은 대학으로 성과가 수혈되는 방식이 아닌 큰 대학이 지원을 흡수해버리는 방식으로 보인다”며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소규모 대학의 소멸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성급한 통폐합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일규 전국교수노동조합 위원장(강원대 교수)은 “강원대를 포함해 대학 간 통합을 하겠다는 모델이 많았다”며 “대학들은 글로컬대학 신청을 위해 3∼4개월 만에 계획안을 만들어서 제출했는데, 어떻게 지역경제와 지역균형발전에 도움이 될지 중장기적인 계획과 설득력은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 박고은 기자
eu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