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민이 1일 오전 ‘이태원 사고’ 현장 인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출구에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대형 참사를 겪은 우리 가족들이 다시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상주 노릇을 제대로 해야 했는데….”
이태원 참사에 대한 정부의 무능한 대처가 사회적 논란이 된 가운데, 2003년 대구지하철 참사에서 가족을 잃은 윤석기 대구지하철참사 희생자 대책위원장은 2일 <한겨레>와 통화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에게 되레 미안한 마음을 전했다.
2022년 서울 한복판에서 또다시 벌어진 참사를 보며 앞서 한국 사회에서 벌어진 숱한 참사의 희생자 가족들은 “내 가족이 겪은 참사와 똑같은 일이 벌어졌다”며 참담함 심경을 전했다. 무엇보다 “참사 이후 진상 조사와 대응마저 똑같아선 안 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세월호 희생자 가족의 마음은 더욱 아프다. 세월호 희생자 가족인 박종대씨는 세월호와 이태원 참사는 “일란성 쌍둥이”라고 말했다. “세월호 첫 신고가 ‘살려주세요, 배가 침몰하고 있어요’였고, 이태원 참사 첫 신고는 ‘압사당할 것 같다. 통제를 해 달라’였어요. 둘 다 구조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정부의 뒤늦은 사과, 희생자에 대한 조롱까지 비슷한 점이 너무 많아요.”
기시감을 느낀 건 세월호 유가족뿐만이 아니다. 대구지하철참사 유가족 윤석기 위원장은, 경찰이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밀어, 밀어”를 외친 것으로 의심받는 ‘토끼 머리띠’ 남성 수사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며 19년 전 가족이 겪은 참사를 떠올렸다. “그때도 불쏘시개 전동차를 만든 잘못된 법과 제도, 국민의 생명을 책임지지 못한 국가의 책임에 집중해야 했는데 정부는 방화범과 승무원 수사에만 집중했어요. 개인에 대한 처벌도 필요하겠지만 그런 위험한 공간을 만든 국가의 책임이 더 큽니다.”
이번 이태원 참사에 대한 정부 대응을 보면 걱정이 더 커진다. 허영주 스텔라데이지호 가족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국민의 안전에 대한 국가의 무한한 책임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려면 참사가 발생한 원인부터 규명해야 한다”며 “최근 씨랜드 화재 참사의 가족, 인현동 화재 참사 가족도 만났는데 정부의 대응은 당시 참사 때와 똑같이 일단 수습에만 초점을 맞추고 잊힐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인 것 같아 모두들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적 참사 희생자 가족들은 늘 가장 앞줄에서 ‘안전한 국가’를 요구해 왔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중대재해처벌법 등 부족하나마 제도적 안전판이 만들어진 것도 가족을 잃은 이들의 고통과 싸움 때문이었다. 아들을 일터에서 잃은 이용관 중대재해 없는 세상만들기 운동본부 공동대표는 “억울하게, 황당하게 가족을 잃은 사람들은 안전하지 않은 사회에서 벌어지는 죽음이 다른 사람 일이 아니라 내 가족 일이라는 걸 안다”며 “안전은 결국 정부, 기업, 사회 전체의 제도, 태도, 관행이 얽힌 문제인만큼 임기응변이 아니라 총체적인 변화가 이제는 정말 필요하다”거 말했다.
방준호
whorun@hani.co.kr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