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이 2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희근 경찰청장이 이태원 참사를 인지한 직후 책임 소재를 어떻게 할 건지 논의하는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은 데 대해 “누가 (문자를) 보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서도 윤석열 대통령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아니라고 밝혔다.
윤 청장은 2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누가 문자를 보냈냐’는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언론 보도를 보고 텔레그램을 확인했는데, 제 전화에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았다”며 이처럼 답했다.
윤 청장은 이태원 참사 발생을 인지한 지 20여분 만인 지난해 10월30일 새벽 0시40분께 텔레그램을 통해 “경찰이 주도적으로 신속 수사해 구청장급 이상에 안전 책임을 귀책시켜 초기 가닥을 명쾌히 가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받았다. 이에 윤 청장은 “잘 알겠습니다”고 답했다. 실제 해당 내용은 홍보담당관을 거쳐 30분도 채 지나지 않아 ‘경찰청장, 지자체, 행사주최 측 등 상대로 안전조치 책임 등 엄정 수사 지시’라는 내용으로 언론에 전달됐다.
윤 청장은 ‘본인 메시지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이냐’는 질의에 “아니다.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본다”면서도 “누가 보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을 비롯한 대통령실, 이 장관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윤 청장은 “당시 현장 구조 지시도 했고, 원인이나 책임 문제가 불거질 것이기 때문에 증거 인멸되기 전에 수사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한 것”이라며 “경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수사 지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앞 대규모 집회가 예고된 상황에서 서울을 비운 게 초유의 일 아니냐.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는 천 의원 발언에 윤 청장은 “1년 전을 돌이켜보면 당시에 있었던 여러가지에 대해서 아쉽고, 제가 그때 당시에 스스로 회한이 드는 게 사실”이라며 “입이 열 개라도 유족들이나 그때 당시 희생된 분들에게 송구한 마음 금할 길이 없다”고 고개를 숙였다.
참사 당일 술을 마시고 잠들어 보고를 두 차례 보지 못했다고 주장해왔던 윤 청장이 실제로는 긴박한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가 11건으로 드러나 거짓 해명이라는 비판을 받는 데 대해서는 “당시에는 연락받고 서울 올라오는 길이라 참모들에게 업무 지시를 하면서 경황이 없던 상황이었다”며 “(메시지에) 뉴스 링크가 있었던 건 추후에 확인했다”고 말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