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한국사회 ‘혼란과 갈등’ 끝나지 않았다

등록 2007-01-03 19:18수정 2007-01-10 10:40

[1987년 그뒤 20년] 386세대 500명 설문조사
<한겨레>는 1987년의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기 위해 당시 청년기를 보낸 만 35~45살의 전국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였다. 61~71년생인 이들은 대학을 다녔다면 80~90학번에 해당해 386세대라고 부를 수 있다. 이번 여론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플러스’에 의뢰해 지난해 12월22~23일 이틀동안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오차한계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이다.

회사원 오태성(41)씨는 1987년 ‘6월 항쟁’ 때 아예 학교에 나가지 않았다. 서울 종로, 시청 앞 광장, 청계천 등 길거리를 내달리며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쳤다.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현재, 오씨는 “형식적인 민주주의에선 현격한 변화가 이뤄졌지만, 아직도 질적인 부분에서는 미흡한 구석이 많다”고 말한다. 특히 “지난해 부동산값 상승으로 집 소유 여부에 따라 양극화가 심화했다”는 게 오씨의 생각이다. 386세대를 대상으로 한 <한겨레> 여론조사에서도 많은 응답자들이 오씨와 비슷한 생각을 드러냈다.

1987년이나 지금이나 똑같이 혼란스럽다?=87년 당시의 한국사회를 표현하는 단어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선택한 것은 ‘혼란’(37.6%), ‘독재’(19.4%), ‘갈등’(16.0%) 따위였다. 독재정권의 폭압이 심했고, 이에 맞선 민주화운동 역시 활발했던 상황을 보여준다. 그런데 지금의 한국사회를 표현하는 단어에서도 ‘혼란’(35.2%), ‘갈등’(23.0%), ‘불평등’(22.0%) 따위가 수위를 지켰다. 한국사회는 여전히 ‘혼란’과 ‘갈등’ 속을 헤매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그 혼란과 갈등의 내용은 달라 보인다. 87년의 한국사회에 대해선 ‘독재’가 두번째로 많이 떠오른 열쇳말인 반면, 현재는 ‘불평등’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자유는 신장됐으되 평등은 후퇴했다는 인식인 것이다. 달리 말해, 절차적 민주주의는 진전됐지만 질적인 민주주의는 아직 미흡하다는 평가로 풀이할 수도 있다.

한편, 87년과 관련해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으로는 33.8%가 박종철씨 고문치사 사건을 꼽았고, 이어 6·10 민주항쟁(18.4%), 6·29 선언(16.2%), 대통령선거(13.4%), 이한열씨 사망(9.6%), 노동조합운동(2.8%) 차례였다. 도도했던 민주화 운동의 추억은 다수의 기억 속에 아직도 여전한 셈이다.

정치적 관심의 쇠락=개인적인 관심사는 어떻게 변해왔을까? 응답자들은 20년 전의 가장 큰 관심사(복수응답)로 진로, 경제안정, 직장 등 경제생활(56.4%)과 사회 민주화(23.8%)를 많이 꼽았다. 이는 386세대가 개인사와 함께 민주주의 정착에 큰 관심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특히 당시 대학을 다니던 이들은 동년배 평균보다 많은 30.6%가 사회 민주화를 당시의 관심사로 꼽았다.

반면 현재의 관심사(복수응답)로는 압도적 다수인 72.0%가 직장, 노후, 부동산, 재테크 등 경제문제를, 43.8%가 자녀교육, 건강 등 개인문제를 꼽았다. 정치 안정, 대통령 선거 등 정치문제를 관심사로 든 이는 15.4%에 그쳤다.

이는 87년 당시의 20대 청년들이 어느덧 경제활동의 주축이자 한 가족의 가장인 40대로 성장한 상황을 반영하기도 한다. 회사원 김상수(41)씨는 “외환위기 이후 평생직장 개념은 사라진 대신 경쟁이 치열해져 스트레스가 상당하다”며 “가정에 돌아가도 중학교에 다니는 아이의 교육, 내집 마련 등 신경 쓸 일이 많아 민주화나 정치 등에 대한 관심은 자연스레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정치에 대한 관심 하락은 투표율 하락과도 맥을 같이 한다. 1987년 대통령선거에서 89.2%였던 투표율은 2002년 70.8%로 급격히 떨어졌다. 최장집 고려대 교수(정치학)는 이를 두고 저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서 민주화 이후 정부들이 한결같이 보여준 무능과 무책임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87년 민주화운동 헛되지 않다’ 80% 이상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대 다수는 1987년 6월 항쟁과 이를 주도한 민주화 세력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87년 6월 항쟁이 한국사회 민주화에 기여했다고 보는지를 묻는 질문에 28.6%가 ‘매우 그렇다’, 53.4%가 ‘그렇다’고 답했다. 80%를 넘는 압도적 비율로 긍정적인 답이 나온 것은 그만큼 많은 이들이 당시 6월 항쟁의 필요성에 공감했고 이를 통해 얻은 성과를 인정했음을 보여준다.

87년 민주화 세력이 이후 한국사회 변화에 기여했느냐는 질문에도 84.6%가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매우 기여했다’ 12.0%, ‘기여했다’ 72.6%). 지지정당별로 보면 열린우리당 지지자의 87.3%, 한나라당 지지자의 83.0%, 민주노동당 지지자의 92.5%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87년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선 정치적 성향과 무관하게 고른 평가가 나오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정훈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거리에 생후 40일 아기…새벽 2시 “분유 있나요” 경찰이 한 일 1.

거리에 생후 40일 아기…새벽 2시 “분유 있나요” 경찰이 한 일

“천박한 짓”…서경덕, ‘독도 간 연예인 공격’ 일 누리꾼에 쓴소리 2.

“천박한 짓”…서경덕, ‘독도 간 연예인 공격’ 일 누리꾼에 쓴소리

[단독] ‘도이치 큰손들’ 대통령 취임식 초청…김 여사 주가조작 의혹 증폭 3.

[단독] ‘도이치 큰손들’ 대통령 취임식 초청…김 여사 주가조작 의혹 증폭

서울대 의대가 쏘아 올린 ‘휴학 승인’…교육부, 고강도 감사 착수 4.

서울대 의대가 쏘아 올린 ‘휴학 승인’…교육부, 고강도 감사 착수

윤 지시 사흘 만에…문체부 “홍명보 감독 선임, 규정 어겨” 5.

윤 지시 사흘 만에…문체부 “홍명보 감독 선임, 규정 어겨”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