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미투 이후 거리로 나선 한국 여성들 대단…국제적 연대 느껴”

등록 2018-06-27 11:11수정 2018-06-27 20:14

신시아 그랜트 보우먼 미국 코넬대학교 교수.
신시아 그랜트 보우먼 미국 코넬대학교 교수.

[짬] 미국 코넬대 법여성학자 신시아 바우먼 교수

오랜 시간 법여성학을 연구해온 학자의 눈에 한국의 미투 운동은 어떻게 비칠까. “미투 이후에 일어났던 시위에 수만여명의 여성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이 가장 고무적이었습니다. 미국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뒤 ‘위민스 마치’(여성 행진)가 있었지만, 벌써 1년6개월이 지난 일이니까요.(웃음) (혜화역 시위 등은) 사진으로밖에 보지 못했지만, 변화를 바라며 성평등을 위해 헌신하는 한국 여성들의 모습이 인상깊었습니다.”

26일 국제적 지식인 공동체인 메리디안 180 한국사무국과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젠더법학연구소가 공동 개최한 강연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신시아 그랜트 보우먼(사진) 코넬대학교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난 미투 운동에서 국제적인 자매애와 연대를 느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콜럼비아대학과 노스웨스턴대학에서 각각 정치학과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보우먼 교수는 여성 법조인, 성희롱, 아동성학대 피해자에 대한 배상 문제 등 법여성학의 문제를 폭넓게 연구해온 권위자다. 1994년엔 법여성학 이론을 최초로 정립한 저서 <페미니즘 법학>을 출간하기도 했다.

25~26일 양일간 이화여대에서 강의한 보우먼 교수는 미국에서 시작된 미투 운동의 주요한 원인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과 ‘성차별 끝에 터져나온 여성들의 분노’가 맞물렸다는 점을 꼽았다. “자신같은 유명인사는 여성의 사타구니를 잡을 수 있다고 자랑한 남성이 미국의 대통령이 된 현실은, 성별간 권력의 불균형을 극명하게 드러냈습니다. 그 결과 여성들의 피해 발언은 이전보다 훨씬 큰 신뢰를 얻었죠.” 그는 수십년간 이어져온 반성폭력 운동과 미투 운동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도 ‘피해자의 말을 믿는 사회적 신뢰’가 만들어졌다는 점을 꼽았다. “성폭력 피해를 말해왔던 여성들은 모두 예민하거나, 조직에 반항하거나, 남성에게 돈을 뜯어내려고 하는 꽃뱀이라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닙니다. 성폭력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으며, 피해 여성의 고백은 믿을 수 있다는 것은 큰 인식의 전환이죠. 이는 피해자의 말을 의심해왔던 법정과 배심원의 편견을 교정하는 역할도 했습니다.”

강연차 방한한 신시아 그랜트 보우먼 교수 인터뷰
“성평등 위해 헌신하는 한국 여성의 모습 고무적
미투, 피해자 말을 믿는 ‘사회적 신뢰’ 만들어”
최근엔 동거 커플을 위한 법적 보장 방안 연구
“동거 커플 보호, 결국 여성인권과도 맞닿아 있어”

보우먼 교수는 미투 이후 심해지고 있는 백래시(반격)현상에 대한 고민도 드러냈다. “백래시는 페미니즘과 함께 지속된, 매우 오래된 과제나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에서도 여전히 ‘나는 페미니스트다’라고 말하면 많은 공격에 시달리는게 현실이죠.” 보우먼 교수는 이어 “많은 여성들이 싸우고 노력한 덕분에 전보다는 페미니즘의 가치가 조금씩 받아들여지는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며 “페미니즘의 가장 명백한 목표인 성평등을 위해 계속 저항하고 싸우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보우먼 교수는 최근 동거 커플의 법적 보장을 넓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동거 커플이라고 하더라도 2년 이상 동거하거나 아이를 낳을 경우, 법적 혼인관계가 받는 법적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취지다. 문재인 대통령 역시 지난 24일 “동거 커플의 출산을 국가가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 봐야할 것”이라고 지시한 바 있다. “미국법상 동거 커플들은 이별시 재산분할, 상대방 사망시 상속 등의 권리를 인정받지 못합니다. 특히 이들이 분리(이별)되었을 때 가장 취약한 집단은 여성과 아이들입니다. 여성이 보호를 받지 못한다면 그 악영향은 아이들에게까지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보우먼 교수는 동거 커플을 보호하는 것이 여성인권과도 맞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미투 운동 이후 많은 여성들은 ‘미투 이전의 삶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 말한다. 보우먼 교수 역시 앞으로도 피해자들에 대한 연대와 사회적 지지가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 이상 성폭력 피해자들은 혼자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여성들이 하나둘씩 자신의 피해를 이야기하고, 또 주변에서는 이를 믿고 응원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습니다. 미투 운동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입니다.”

글·사진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뺑소니’ 가수 김호중, 1심 실형 선고받은 날 항소 1.

‘뺑소니’ 가수 김호중, 1심 실형 선고받은 날 항소

올해 수능 필적 확인 문구는 이것…18년 동안 어떤 글 있었나 2.

올해 수능 필적 확인 문구는 이것…18년 동안 어떤 글 있었나

EBS “수능 국어 작년보다 쉬워…9월 모평 수준, ‘킬러문항’ 배제” 3.

EBS “수능 국어 작년보다 쉬워…9월 모평 수준, ‘킬러문항’ 배제”

대법, 윤미향 유죄 확정…후원금 횡령 4.

대법, 윤미향 유죄 확정…후원금 횡령

내 편 하나 없이 까마득한 문제지…올해도 ‘한 줌의 격려’가 놓였다 5.

내 편 하나 없이 까마득한 문제지…올해도 ‘한 줌의 격려’가 놓였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