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 특집

[패럴림픽 폐막] 베이징의 추억, 4년 뒤 밀라노에서 다시 만나요

등록 2022-03-13 22:11수정 2022-03-13 22:56

13일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2022 베이징겨울패럴림픽 폐막식 마지막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13일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2022 베이징겨울패럴림픽 폐막식 마지막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2022 베이징겨울패럴림픽의 성화가 꺼졌다. 지난 4일 개막해 열흘간 이어졌던 땀과 눈물의 제전은 13일 무사히 폐막식에 가닿았다.

이날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폐막식은 경기장 바닥 엘이디(LED) 화면 위에 빛으로 형상화한 거대한 레코드판이 돌아가며 선수들을 맞았다. 폐막식의 주제는 ‘따뜻함 속 영원’(In Warmth Eternal). 베이징겨울패럴림픽이 함께한 모두에게 따뜻한 추억으로 영원히 남길 바란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이 경쾌하게 울려 퍼지는 가운데 참가국 대표 기수와 자원봉사자가 짝을 이뤄 한 쌍씩 원반 위로 들어섰다. 한국은 46개국 중 35번째로, 개막식 기수였던 휠체어컬링 국가대표팀 ‘장윤정고백’(의정부 롤링스톤)의 리드 백혜진이 태극기와 함께 입장했다. 레코드 원판은 어느새 지구의 모습으로 변해 인류가 하나의 공동체 위에 서 있음을 일깨웠다.

이번 대회는 전세계 46개국에서 560여명의 선수가 참가해 기량을 겨뤘다. 한국은 선수 31명과 임원 48명 등 79명을 6개 모든 종목에 내보냈으나 메달을 따진 못했다. 2018년 평창 대회에서 금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수확한 한국이 겨울패럴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건 2014년 소치 대회 이후 8년 만이다.

휠체어컬링 대표팀의 리드 백혜진이 13일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겨울패럴림픽 폐막식에서 태극기를 들고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휠체어컬링 대표팀의 리드 백혜진이 13일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겨울패럴림픽 폐막식에서 태극기를 들고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최국 중국은 메달 61개(금18 은20 동23)를 휩쓸며 종합 순위 1위에 올랐다. 겨울패럴림픽에서는 그동안 메달이 하나밖에 없었던 중국은 패럴림픽 유치 이후 전폭적인 투자를 통해 단숨에 장애인스포츠 최강국으로 올라섰다.

종합 2위는 메달 29개(금11 은10 동8)를 따낸 우크라이나가 차지했다. 전쟁의 참화에 휩싸인 아픔을 딛고 이룬 값진 성적이다. 러시아와 벨라루스 대표팀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에 출전 금지 결정을 받고 대회 개막 직전 귀국해야 했다.

이날 폐막식은 지난 개막식과 마찬가지로 2008 베이징올림픽과 2022베이징겨울올림픽의 행사를 모두 총괄했던 장이머우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앤드루 파슨스 아이피시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2022 베이징겨울패럴림픽 폐막식. 베이징/EPA 연합뉴스
2022 베이징겨울패럴림픽 폐막식. 베이징/EPA 연합뉴스

베이징의 추억을 뒤로 하고 겨울패럴림픽은 4년 뒤 이탈리아 밀라노-코르티나 담페초 대회를 기약하게 됐다. 겨울패럴림픽기는 천지닝 베이징 시장의 손을 떠나 안나 스카부초 밀라노 부시장과 잔피에트로 게디나 코르티나 담페초 시장에게 건네졌다. 바로 이어서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대회를 예고하는 ‘우리는 빛이다’(We Are The Light) 영상이 상영됐다.

파슨스 위원장의 폐막 선언과 함께 성화가 꺼진 뒤 장애인·비장애인 공연자가 함께 어우러지면서 피날레 무대를 장식했다. 앞서 겨울올림픽 폐막식에서는 중국색이 강한 빨간색이 강조됐던 것과 달리 이날 경기장은 주로 파란 빛을 띠었다. 우크라이나의 국기색을 연상시키는 노란색과 파란색 배색이 눈에 띄기도 했다.

박강수 기자 turn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엘지배 ‘사석 논란’ 후폭풍…신진서 등 톱 기사들 직격탄 맞나 1.

엘지배 ‘사석 논란’ 후폭풍…신진서 등 톱 기사들 직격탄 맞나

손흥민 전반전 활약…토트넘 유로파리그 16강 직행 2.

손흥민 전반전 활약…토트넘 유로파리그 16강 직행

치려다가 미치는 ‘광속구 괴물들’ 3.

치려다가 미치는 ‘광속구 괴물들’

2025년에는 어떤 승부가 펼쳐질까 [2025 스포츠 캘린더] 4.

2025년에는 어떤 승부가 펼쳐질까 [2025 스포츠 캘린더]

손흥민 활약…토트넘, 강호 리버풀 꺾고 카라바오컵 결승 눈 앞 5.

손흥민 활약…토트넘, 강호 리버풀 꺾고 카라바오컵 결승 눈 앞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