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 봉합 국면으로 기운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충돌을 보는 더불어민주당의 속내가 복잡하다. 표면적으로는 두 사람의 갈등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지만, 총선에서 윤석열 정권 심판론이 희석될 수 있는 데다 민주당이 뉴스의 중심에서 멀어진 탓이다.
민주당은 23일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 사이의 갈등을 “민생을 외면하는 집권세력 내부의 권력 투쟁”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윤영덕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원내대책회의 뒤 기자들을 만나 “권력을 사유화하는 대통령이나 집권 여당을 사유화하려는 여당 대표나 ‘도긴개긴’”이라며 “정말 국민들 민생을 살피고 대한민국 경제를 살피고 나라의 운명을 생각해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선우 대변인도 오전 대통령실의 한 위원장 사퇴 요구 대해 “정치 중립을 위반하고 정당 민주주의를 무참히 훼손한 윤석열 대통령의 책임을 강력히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은 서천 특화시장 화재 현장을 함께 방문하며 갈등을 봉합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민주당 안에서는 이번 사태가 민주당에 득이 될 게 없다는 우려가 있다. 결과적으로 한 위원장이 김건희 여사 문제에 윤 대통령과 이견을 나타내며 차별화 이미지를 만들었고, 이로 인해 총선에서 ‘윤석열 정권 심판론’이 약화할 것이라는 걱정이다. 한 수도권 의원은 한겨레에 “총선이 윤 대통령 심판이어야 하는데, 윤 대통령을 확실히 뒤로 보내는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고 말했다. 당 대표실 관계자도 “‘윤석열 정부는 못하고 있지만, 여당은 나름대로 대항하고 있다’는 시선이 자리 잡으면 정권심판론이 약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이슈를 주도하지 못하면서 뉴스 중심에서 ‘실종’됐다는 말도 나온다. 한 비이재명계 의원은 “‘한동훈과 윤석열의 대립’으로 민주당이 (국민) 시선과 의제 등을 모두 다 빼앗겼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공천 개혁이나 주목도 높은 정책 발표는 물론, 선거제에 대해서도 결론을 내지 못하는 상태다. 다른 수도권 재선의원은 “명확한 메시지와 기획이 지도부에서 나오고 있지 않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 이우연 기자 az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