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철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왼쪽)와 이정민 부대표가 13일 오전 서울서부지방검찰청에 출석해 취재진의 질의에 대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수사의 공이 검찰로 넘어갔다. 검찰은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희생자 유가족을 조사하는 등 빠른 속도로 수사를 진행 중이다. 경찰청장과 상위 기관 책임자 입건 등 이른바 ‘윗선’ 수사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3일 오전 10시께 서울서부지검은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이종철 대표, 이정민 부대표를 대상으로 피해자 조사를 진행했다. 이들은 조사에 앞서 취재진과 진행한 질의응답에서 특수본의 수사가 윗선을 향하지 못한 점을 지적했다. 이정민 부대표는 “참사의 (책임이) 용산구청장이나 용산서장 선에서 마무리되기에는 많은 인명이 사망한 부분을 (설명하기에) 굉장히 미진하다고 생각한다”며 “많은 사람이 구조 요청을 했는데 응급한 상황을 전달받고도 상부에서 묵살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철 대표도 “이상민 행안부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에 대한 소환 조사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특수본이라는 거대 조직을 갖고서 수사를 이것 밖에 못했다는 것조차 이해가 안 간다”고 했다.
유가족에게 수사 진행 상황과 관련한 특수본의 설명이 부족했다는 불만도 나왔다. 이 부대표는 “특수본에서 수사 결과나 경과, 상황 등에 대해 유가족에게 설명이 전혀 없었다”며 “피해자 중심의 수사가 아니기 때문에 잘못됐다고 생각하고 있고 검찰에는 추가로 수사되는 부분에 대해 유가족에게 설명해달라고 당부하려 한다”고 했다. 이 대표도 “박희영 용산구청장과 비서 등이 동시에 휴대전화를 바꿨는데 그에 대한 수사가 됐는지도 아는 바가 없다”며 “양심 있는 검사들이 특수본보다 더 큰 범위 내에서 수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검찰은 특수본 수사가 종료되기 전부터 고강도 강제수사를 벌였다. 검찰은 지난 10일 경찰청, 서울경찰청,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 10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경찰청의 경우 디지털포렌식 자료가 방대하다며 이틀에 거쳐 진행됐다. 보완수사에 그치지 않고 수사 대상에서 비켜나 있던 윤희근 경찰청장이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서울시 등 상급기관으로 수사가 뻗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우연 기자
az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