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 영리병원을 세우겠다고 신청한 중국 산얼병원의 모기업 회장이 구속되고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보건복지부가 뒤늦게 현장조사에 나섰다. 복지부는 이에 앞서 제주도에도 실태조사를 요청했다. 일부에서는 산얼병원 쪽이 제주 영리병원 설립을 포기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정부가 ‘외국인 ...
제주도에 영리병원 설립을 신청한 첫 외국 병원인 산얼병원에 대한 승인 여부를 심의하고 있는 보건복지부는 이 병원의 구체적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복지부는 중국에 파견된 공무원들을 통해 부랴부랴 실태 파악에 나섰다. 26일 복지부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새로 불거진 산얼병원 모기...
최근 오비맥주 ‘카스’에서 소독약 냄새가 난다는 논란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조사한 결과 이는 맥주가 산화했을 때 생기는 냄새 때문으로 인체에 해로운 것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식약처의 말을 종합하면 식약처는 최근 오비맥주 공장의 제조·유통 과정을 조사한 결과, 카스 맥주가 다른 주류회사의 제...
중국 기업이 제주도에 지으려 하는 싼얼병원에 대한 정부의 승인이 이르면 다음달 이뤄질 전망이다. 실제 승인이 이뤄지면 국내에 들어서는 첫 외국영리병원이 된다. 중국의 한 기업이 영리를 목적으로 한 ‘싼얼병원’을 제주도에 짓겠다고 지난해 2월 승인을 요청했다가 보건복지부의 보류 판정을 받았는데, 복지부가...
정부가 12일 발표한 보건의료서비스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을 두고 정부와 시민단체 사이에 ‘의료 민영화’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보건의료단체가 영리병원이나 영리자회사 설립이 의료비 폭등과 건강보험 위축 등을 초래하는 만큼 의료 민영화로 볼 수밖에 없다며 비판하고 나서자, 정부는 “논리 비약”이라고 맞섰다. ...
서울대병원이 아랍에미리트(UAE) 왕립 병원을 5년 동안 맡아 운영하게 됐다. 국내 병원이 아랍권을 비롯해 중국이나 미국 등으로 진출한 적은 여러 차례 있지만, 종합병원 규모의 큰 의료기관을 위탁운영하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건복지부는 13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서울대병원과 아랍에미리트 왕립 ...
너무 맵게 먹으면 우리 몸에서 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헌식 울산대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팀은 위암 등 여러 종류의 암 세포에 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을 투여한 결과 우리 몸에서 암 세포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자연살해세포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
건강과 질병의 경계는 어디인가를 둘러싼 의학계의 논란이 뜨겁다. 하지만 일반 시민이 전문적인 의학 지식에 두루 밝기는 어렵다. 무지는 공포를 부른다. 적잖은 이들이 가벼운 증상만 있어도 새로운 첨단 의료기술을 적용해 치료받아야 하는 게 아닌지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전에 없던 질병이라도 걸리면 패닉에 빠...
슈퍼마켓에서도 냉장·냉동시설만 있다면 포장된 닭·오리고기를 팔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정육점으로 신고하지 않은 소매업소에서도 냉장·냉동시설을 갖추면 쇠고기·돼지고기 포장육과 함께 도축장에서 포장한 닭이나 오리고기를 팔 수 있도록 하는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육군 28사단 윤아무개(21) 일병의 사망 원인과 시점을 두고 군당국과 시민단체 사이에 주장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민간 병원 응급의학전문의들은 의학적 관점에서 군당국의 판단에 허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쟁점은 크게 윤 일병의 직접 사인이 구타 혹은 음식물에 의한 기도폐쇄냐 여부와 사망시점을 병원 도착 이전으...
에볼라 출혈열(에볼라) 발생국인 서아프리카의 라이베리아에서 한달 넘게 머물다 귀국한 한국인 등 세 명이 보건당국의 추적 조사 대상에서 빠진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검역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자, 보건당국은 아프리카에서 오는 비행기에서 여행객이 빠져나오는 즉시 검역을 실시하기로 했다. 7일 질병...
건강기능식품 소비 증가세를 주도한 건 홍삼 제품이다. 그런데 잘 나가던 홍삼의 인기가 다소 시들해지고 그 자리를 유산균 제품이 채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내놓은 ‘2013년 건강기능식품 생산 실적’을 보면,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총생산액은 1조4820억원으로 전년도 1조4091억원보다 5%...